즐겨찾기+  날짜 : 2025-07-11 오전 10:49:55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검색
속보
;
지면보다 빠른 뉴스
전자신문에서만 만날 수 있는 고령군민신문
·11:00
·13:00
··
·11:00
·18:00
·14:00
뉴스 > 기고/칼럼

특별기고_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글. 최병욱_국토교통부노동조합 위원장
고령군민신문 기자 / kmtoday@naver.com입력 : 2021년 02월 22일
카카오톡트위터페이스북밴드네이버블로그
글. 최병욱_국토교통부노동조합 위원장

봄기운이 한껏 느껴지는 날이다, 여전히 기승을 부리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더 없이 원망스럽다. 모든 일상을 빼앗은 까닭이다. 실제로 절기도 지난 3일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立春)과 지난 18일 만물의 소생한다는 우수(雨水)를 지나고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나는 경칩(驚蟄)을 앞두고 있다.

아무리 코로나가 기승을 부려도 여전히 시간은 흐른다. 부정할 수 없는 자연의 이치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포항지역의 화두도 바뀌어왔다. 우리나라 대표 산업 도시이자 철의 도시인 포항은 이제는 인구 쇠퇴 문제에 직면했다. 가장 시급한 사안은 포항시가 역점 추진 중인 '인구 51만 회복'이라 할 수 있다. 

떠나간 사람들이 다시 포항으로 돌아오게 만들고, 또 외지인이 지역에 안착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매력적인 도시로 거듭나야 한다. 비단 사회 인프라 부족이라는 단편적인 시각으로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보육, 거주, 경제, 교육 등 전 생애주기에 걸쳐 경험하는 모든 어려움을 해결해야만 풀 수 있는 숙제다. 또 정부 혼자 모든 것을 풀기 힘든 것 또한 사실이다.

필자는 우리가 직면한 인구·도시 문제에 대해 평소 깊이 고민해 왔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노동의 가치가 저평가된 점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 가파르게 물가는 상승한 반면 노동의 가치는 그만큼 오르지 못했다. 홀벌이 가구일수록 생활고에 허덕인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노동의 인식이 여전히 산업화 시대에 머물고 있다. 화이트칼라는 대우해주고 현장에서 땀 흘리는 블루칼라는 다양한 단어로 비하받기 십상이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명문학교 진학 우선주의’를 선호하는 현상이 우리 사회를 삭막하게 만들었다. 공정경제 측면에서는 갑은 을에게 합당한 보상을 하기 보다는 좋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저렴하게 받고자 하는 욕심이 우리 사회에 만연하다. 정당한 보상이 아닌 그릇된 ‘고객 우선주의’가 사회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

마지막으로 부동산 측면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상승하는 집값에 내 집 마련은 먼 나라 이야기가 됐다는 무주택자들의 신음 소리도 놓쳐선 안 된다.

조심스레 종합해 보면 우리 사회가 유년시절부터 너무 치열한 경쟁사회를 경험한 까닭이 아닐까란 생각이 든다. 더 좋은 학교, 더 좋은 직장, 더 좋은 주택을 목표로 고군분투하다보니 이제는 공존의 중요성을 간과하게 됐다.

더 좋은 학교, 직장, 주택은 상대적 가치다. 보여주기에 집중한 결과, 나 자신은 잃어버렸다. 그 연장 선상에서 오늘날 인구 절벽 문제가 봉착하게 됐다. 줄어드는 인구의 문제는 돈 문제만은 아니다. 남을 인식하고 겉으로 보이는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하루하루를 치열하게 살아가다가 지쳤기 때문에 일어났다고 필자는 판단한다. 물론 치열한 경쟁을 통해 지식은 더 많이 쌓았을 순 있지만, 인간 본연의 모습은 잃어버렸기에 더 가슴 아플 따름이다.

이 시대가 경험하고 있는 여러 사회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필자는 주장하고 싶다.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급급한 인생을 살기보다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그 속에서 만족을 느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미다.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게 되면, 그 속에서 창의적인 사고가 등장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세상에 없던 경쟁력 갖춘 나라는 상품이 필연 등장할 수 밖에 없다. 경쟁력 있는 상품은 사람을 불러 모으는 힘이 있다. 이는 경제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는 도구가 된다.
결국 우리가 처한 모든 문제는 사회 인식이 개선돼야 비로소 해결될 문제들이다. 남의 시선과 욕심을 잠시 내려놓고 ‘나다움’을 먼저 찾는 일이 필요한 때라고 조심스레 제안하고 싶다.

우리는 여전히 ‘코로나시대’를 살고 있다. 이로 인해 경기 침체 등 모두가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하지만 모두의 지혜를 모아 올해는 사회 문제부터 코로나바이러스 종식까지 해결하는 원년이 되길 바란다.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그릇된 사회 인식 개선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고령군민신문 기자 / kmtoday@naver.com입력 : 2021년 02월 22일
- Copyrights ⓒ고령군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오피니언
사설 칼럼 기고
가장 많이본 뉴스
오늘 주간 월간
요일별 기획
문화
생활상식
시뜨락
기자칼럼
공연/전시
사회단체
배움의 열정에 단합을 더하다! 경북도민행복대학 고령군캠퍼스4기 단합대회 개최  
고령군, 고혈압․당뇨병 환자 대상 소규모 연속교육 실시  
“일촌보다 이웃사촌 복지공동체”워크숍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선진 돌봄을 배우다.  
인물 사람들
고령군, 국립대가야박물관 설립 위해 관계부처와 협의 나서
고령군은 잊혀진 고대국가 대가야의 문화유산에 대한 대국민적 향유기회를 확대하고자 국립대가야박물관 유치 및 건립사업을 추진한다. 
“도서관, 돌봄을 품다”- 고령군 작은도서관 돌봄 사업, 아이와 함께하
고령군이 운영 중인 ‘작은도서관 돌봄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7일(금) 오후 6시부터 7시까지 고령군 쌍림작은도서관에서 진행된‘아이와 함께하 
회사소개 편집규약 윤리강령 개인정보취급방침 구독신청 기사제보 제휴문의 광고문의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고령군민신문 / 주소: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월기길 1
대표이사 겸 발행인: 이복환 / 편집인: 이상희 / Tel: 054-956-9088 / Fax: 054-956-3339 / mail: kmtoday@naver.com
청탁방지담당관: 김희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복환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경북,다01425 / 등록일 :2012년 08월 24일
구독료 납부계좌 : 농협 301-0112-5465-81 예금주 고령군민신문 / 후원계좌 : 농협 301-0112-5465-81 예금주 고령군민신문
Copyright ⓒ 고령군민신문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9,982
오늘 방문자 수 : 3,318
총 방문자 수 : 57,787,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