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재일 |
커피가 최초로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19세기 말이라고 추정된다, 당시 조선에 서양인들이 들어오고 고종황제가 매우 좋아하였다고 한다. 커피를 얼마나 좋아했는지 1889년 실각한 권신 김홍륙이 고종을 암살하려고 마실 커피에 독약을 탔는데, 평소 마시던 커피와 향이 다름을 눈치채 독살 위기에서 벗어났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이다.
한편 양반들이 외국인에게 커피를 선물 받으면 두고두고 아껴 마셨다고 한다. 1930년경에 프렌치프레스, 에스프레소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모카포트가 개발되었고, 이탈리아인들이 미국에 가져간 에스프레소를 현지인들에게 맞춘 아메리카노 등이 탄생하기도 하였다. 이후에 커피는 3가지의 흐름으로 변화한다.
첫째는 제1의 물결이라고 할 수 있는데, 1946년 전후, 커피 추출물을 냉동건조시킨 인스턴트 커피가 등장하면서 대중들의 호응이 대단하였다. 여러나라 커피 애호가들에게 친숙해지고 잠을 깨는 대표적인 각성제로서의 역할을 맡게 된다. 당시 커피의 인식은 카페인 섭취가 주목적이었다.
둘째는 제2의 물결이라고 할 수 있다. 1960년 이후, 스타벅스와 같은 프랜차이즈 카페들이 하나 둘씩 발생하였다. 강배전된 에스프레소를 이용한 배리에이션 커피가 본격적으로 세계에 전파되었다.
셋째는 제3의 물결이라고 하는데, 198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러 강배전 커피에서 탈피하고, 커피 본연의 다양한 맛을 살리기 위해 생두의 원산지와 농장, 산미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한 국가에서도 여러 가지 다양한 품종과 맛의 커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섬세한 맛을 살리기 위해 강배전으로 획일화된 로스팅에서 탈피하여 여러 가지 변수를 실험하는 경향과, 기존에 경험적인 부분을 신뢰하며 등한시했던 추출 과정에 대한 과학적인 증명 등 대규모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커피나무는 약 2년이 지나면 꽃이 피고 약 3년 후에는 빨간색 또는 노란색의 열매(Cherry, 체리)가 맺히게 된다. 이러한 열매에서 가공된 씨앗을 생두(Green Bean)라고 한다. 커피 품종은 크게 보면 아라비카(Arabica)와 로부스타(Robusta)가 약 98%를 점유하고 있다. 커피 원산지는 에티오피아의 고원지대이다.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양을 치던 목동인 ‘칼디’가 자신의 양들이 이상한 열매를 먹고 잠도 자지 않고 밤새 뛰어노는 걸 보고는 신기해서 먹어보고는 각성효과가 있음을 발견해서 재배하기 시작했다는 전설이 있다.
커피가 생산되는 곳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인 커피 벨트(Coffee Belt) 또는 커피 존(Coffee Zone)이다. 중동·아프리카(에티오피아, 예멘, 탄자니아, 케냐 등)는 커피의 원산지로, 중남미(브라질, 콜롬비아, 과테말라, 자메이카 등)와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인도네시아(인도, 베트남, 하와이 등)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세계 3대 커피는 자메이카의 블루 마운틴(Blue Mountain), 하와이의 코나(Kona), 예멘의 모카(Mocha) 커피이다
세계 커피생산량 1위 브라질, 2위 베트남, 3위 콜롬비아, 4위 인도네시아, 5위 온두라스, 6위 에티오피아 순이다.
글/서재일 전)경북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교수 현)커피레드 대표
|